강의 열처리 1. 강의 열처리 - 강의 열처리( 4가지 )는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, 강을 원하는 온도( Ac3라던지 Acm + 30~50ºC ) 까지 가열한 뒤, 식히는 과정과 재가열하는 과정이 그것이다. 식히는 과정은 어디에서 식히느냐( 냉각 속도가 다른것이다 )에 따라 다른 열처리가 된다. 1) 불림 (Normalizing, 소준) -> 공기 중에서 냉각 . 서냉 또는 공냉이라고 한다.강을 Ac3 또는 Acm 이상으로 가열하여 오스테나이트화로 한 후 공기 중에서 냉각하며 목적은 다음과 같다. (1) 조주조직을 미세화한다. A( 가열로 안 )가 된다. [ 전공 - 신소재 ]/철강 재료 10년 전
강의 조직과 변태 1. 강(C 0.025%~0.8%)의 조직 . 1) 페라이트 (α- 고용체) 순철에 탄소가 극히 소량 고용된 고용체를 페라이트라고 한다. 부식액에 잘 부식되지 않을 정도로 내식성이 크며, 상온에서 789℃까지 강자성체이며 체심입방격자(BCC)의 구조로 연성이 크다. BCC구조로 격자내 빈공간이 많지만 C가 침입고용할수 있는 자리가 FCC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어서 C를 고용하는 양은 적다. 조직사진 관찰시 검게 나온다. 2) 시멘타이트 (Fe3C) 시멘타이트는 0.8%의 탄소강으로부터 6.67%의 주철까지의 주된 성분으로 Fe과 C 의 금속간 화합물로 극히 단단한 성질로 강보다 내식이 크다. 공구강이나 고탄소강에 존재하는 Fe3C 는 충격에 약하므로 구상화 열처리에 의하여 구상시멘타이트화하여 사용하면 충격.. [ 전공 - 신소재 ]/철강 재료 10년 전